top of page

미국 대학 입학사정관이 원서를 평가하는 과정

최종 수정일: 2022년 5월 1일


전지적 미국 대학 입학사정관 시점: 원서 읽기


계속해서 검색해도 끝이 없는 미국 대학 입시.

정보는 너무 많은데 어떤 정보가 믿을 만 한지 모르겠고, 대부분의 정보는 영어로 써져있어서 많은 한국 학생들과 부모님들은 미국 대학 입시준비에 앞서 막막하기만 합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파스찰 매니저가 입학사정관이 학생을 합격시키는 때까지의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

1. 스크리닝 & 원서 분류

미국대학의 입시는 “holistic review” 를 강조합니다.

holistic review 란 지원자가 제출하는 모든 서류와 정보 (GPA, 교내/외활동, 추천서, 에세이, 인터뷰, 배경) 를 모아두고 다방면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시스템입니다.

학생이 제출한 모든 서류는 주로 Common App (커먼앱) 을 통해 하나의 파일로 합쳐서 학교에 보내지고, 이 서류는 각 지역을 담당하는 입학사정관에게 전달됩니다.

여기서 기억해야 할 점은, 한국인 여권을 가지고 있는 한국 학생이라면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모든 국제학생들 혹은 아시아 국가의 국제학생들을 담당하는 입학사정관에게 파일이 가장 먼저 전달됩니다.

즉, 한국 학생들의 경쟁상대는 가장 가깝게는 다른 한국 국제학생들, 조금 더 나아가선 아시아 지역의 국제학생 pool (풀) 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 1:1 원서 평가

이렇게 원서를 분류하고 난 후에 한 명의 입학사정관이 원서를 읽게 됩니다.

원서를 읽으면서 pink sheet 이라고 불리는 원서 요약서에 메모를 합니다.

보통 이 메모에는 기본적인 스펙 (GPA, SAT/ACT, 활동, 수업) 과 에세이나 추천서 면에 있어서 인상 깊은 내용 혹은 구절을 적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3명의 입학사정관이 1:1로 학생의 지원서를 읽습니다.

3. 커미티 (입학사정관 그룹 평가)

2-3명 입학사정관의 평가를 거친 후 학생의 원서는 커미티, 즉 입학사정관 여럿이 모인 미팅에서 재평가를 받게 됩니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모든 원서가 커미티에서 재평가 되지는 않습니다.

1:1 원서 평가에서 모두가 최고점을 준 학생, 혹은 기본적인 스펙 (GPA, SAT/ACT, 활동) 면에서 학교의 평균 점수에 미치지 못하는 학생은 그룹 평가 없이 합격의 당락이 결정됩니다.

그렇다면 그룹 평가까지 간 원서는 보통 성적이나 활동면에 있어 학교의 평균기준과 부합하되 아주 뛰어난 스펙이나 특이점이 없었던 학생들이 대부분일 확률이 높습니다.

이 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학생의 배경 (자라온 지역, 경제적 여건), 활동, 그리고 에세이 입니다.

학생의 원서를 1:1로 읽은 입학사정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면, 그룹 평가를 진행할 때 이 입학사정관은 학생을 적극적으로 서포트 할 것 입니다.

4. 합격 결정

원서 스크리닝, 1:1 평가, 그룹 평가까지 거쳐 입학사정관들은 모든 학생의 합격 여부를 결정합니다.

합격 (acceptance), 웨잇리스트 (waitlist), 불합격 (reject) 이렇게 세 개의 결과로 나뉘고,

레귤러 원서를 제출했다면 3월 중순부터 시작해서 4월 초중순까지 대학에서 소식을 듣게 됩니다.

파스찰 매니저의 인사이트

냉정하게 얘기하면 에세이를 제외한 원서의 모든 부분은 11학년말에 이미 다 정해집니다.

GPA, SAT/ACT 점수, AP/IB 점수, 교내/외활동에 큰 변화가 있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그렇다면 11학년이 끝난 시점에 학생들이 원서 내에서 컨트롤 할 수 있는 부분은 입니다.

커먼앱 에세이, 서플리먼트 에세이, 그리고 엑티비티 리스트를 어떻게 적느냐에 따라 점수나 배경이 비슷한 학생들의 풀에서 조금 더 눈에 띄는 학생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모든 건 학생이 타겟 대학의 평균 점수권에 들어간다는 전제 하에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파스찰은 미국 대학 입시를 앞둔 학생들이 그 “한 끗 차이" 를 이룰 수 있게끔 최선을 다해 학생들을 돕고 있습니다. 에세이 브레인스토밍과 에디팅을 전문으로 진행하지만, 학생의 점수나 스펙을 보고 대학 리스트를 선정하는 데에도 기본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조회수 30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